본문 바로가기
경제

🙋 의무상환액 통지 시작! 학자금대출자라면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보

by mira0911 2025. 4. 24.
반응형

 

20만 명 통지 대상, 나는 해당될까? 지금 꼭 확인하세요!

 

혹시 학자금대출 받으셨던 기억, 있으신가요?
이제는 ‘갚을 때’라는 말, 점점 현실이 되어가고 있죠.
최근 국세청에서 2025년 기준 학자금대출 상환 대상자 약 20만 명에게 의무상환액을 안내하기 시작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어요.

 

특히 취업 후 학자금 상환(ICL) 제도를 이용하신 분이라면 이번 통지 내용을 꼭 확인하셔야 해요.
납부 기한, 상환 방법, 유예 신청까지 미리 알아두면 손해 보지 않는다는 점! 오늘은 이 모든 내용을 하나하나 정리해드릴게요. 

 

 

📑 목차

 

 

1️⃣ 의무상환액이란 무엇인가요? 🙋

 

의무상환액은 ‘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ICL)’을 받은 사람이 일정한 소득이 생겼을 때, 국세청이 자동으로 산정하여 반드시 상환해야 하는 금액을 말해요.

 

대출자는 대학 또는 대학원 재학 중에 받은 학자금 대출을, 졸업 또는 중도 탈락 후 취업하거나 소득이 발생하면 정해진 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상환을 시작하게 됩니다.

 

즉, ‘돈을 벌기 시작하면 갚아야 하는 학자금’이라 이해하시면 가장 쉬워요 😊

 

 

학자금대출 의무상환액

 

 

2️⃣ 상환 기준과 계산 방법  🧮

 

의무상환액은 다음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의무상환액 = (연간 소득금액 – 상환기준소득) × 상환율 – 자발적 상환액

 

 

여기서 상환기준소득은 2024년 기준 1,752만 원이고,
상환율은 학부생은 20%, 대학원생은 25%입니다.

 

예를 들어, 한 해 연 소득이 2,000만 원인 학부생의 경우 다음과 같이 계산돼요:

  • 초과소득: 2,000만 원 - 1,752만 원 = 248만 원
  • 의무상환액: 248만 원 × 20% = 49만 6천 원

또한 해당 연도에 자발적으로 상환한 금액이 있다면, 그 금액만큼 의무상환액에서 차감됩니다!

 

단, 계산된 금액이 36만 원 미만이라면 최소 의무상환액인 36만 원이 적용돼요.

3️⃣ 상환 방법과 절차는? 📚

 

학자금대출 의무상환은 소득이 발생하면 자동으로 시작돼요. 국세청이 통보한 의무상환액을 다음의 방법 중 하나로 납부하게 됩니다.

상환 방법 대상자 특징
급여 원천공제 직장 재직자 매달 급여에서 1/12씩 자동 공제
미리 납부 원천공제 원하지 않는 경우 5월 말 전액 또는 5월/12월 분납 가능
고지서 납부 직장 미재직자 납부 고지서 수령 후 직접 입금

 

TIP! 의무상환액 통지는 학자금대출 누리집에서 미리 확인할 수 있어요.

 

 

학자금대출 상환

 

 

4️⃣ 상환이 어려울 땐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실직, 퇴직, 육아휴직 등으로 소득이 없거나, 현재 대학(원) 재학 중이라면 상환 유예 신청이 가능해요.

  • 📌 근로소득 단절로 상환기준소득 미만 → 최대 2년 유예 가능
  • 📌 대학(원) 재학 중이라면 소득과 무관하게 → 최대 4년 유예 가능

 

유예 신청은 취업 후 학자금 상환 누리집에서 간단히 가능하고, 증빙서류(실직확인서, 재학증명서 등)만 제출하면 돼요.

 

💡 주의! 유예 신청을 하지 않고 납부기한을 넘기면 과태료, 연체이자, 신용상 불이익이 생길 수 있으니 꼭 확인해 주세요.

 

5️⃣ 자주 묻는 질문 (FAQ) 🧠

  •  
  • 의무상환액은 매년 달라지나요?
    네, 전년도 연간 소득에 따라 매년 달라집니다. 소득이 증가하면 상환액도 올라가고, 소득이 기준 이하라면 상환액은 '0원'입니다.
  • 알림톡을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학자금 누리집에서 '알리미 서비스' 신청 후 카카오톡으로 실시간 안내를 받을 수 있어요.
  • 이미 자발적으로 상환한 금액이 있는데요?
    해당 연도에 상환한 금액은 다음 해 의무상환액에서 차감돼요. 예를 들어, 자발적 상환 30만 원이 있다면 의무상환액이 30만 원만큼 줄어듭니다.
  • 상환유예는 몇 번까지 가능한가요?
    실직·퇴직 등 소득이 없을 경우 2년, 재학 중이면 최대 4년까지 유예할 수 있어요. 사유가 지속되면 추가 신청도 가능합니다.
  • 납부기한을 놓치면 어떻게 되나요?
    과태료, 연체금, 신용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어요. 정해진 기한 내 꼭 납부하거나, 상환이 어려울 경우 유예 신청을 하셔야 해요.
  • 대학원 대출도 포함되나요?
    네, 대학원생도 포함됩니다. 다만 상환율은 학부생보다 높은 25%가 적용돼요.

6️⃣ 마무리  📢


학자금 대출 상환은 단순한 의무가 아닌, 미래를 위한 현명한 자산 관리의 시작이랍니다.
‘몰랐다’는 이유로 불이익을 받기보다는, 미리 알고 준비하면 생각보다 훨씬 쉽게 관리할 수 있어요!

 

혹시라도 상환이 부담되거나 상황이 여의치 않다면, 유예 신청 제도를 적극 활용해보세요.
그리고 아직 ‘알리미 서비스’를 신청하지 않으셨다면 꼭 신청하셔서, 놓치는 일 없이 챙기시길 바랍니다 💡

여러분의 경제적 자립과 멋진 미래를 진심으로 응원할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