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오징어 한 마리가 1만원! 피시플레이션 현상이란?

by mira0911 2025. 3. 6.
반응형

 

작년(2024년) 바다수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 서민밥상을 위협하고 있는 해산물 가격이 급등하면서 ‘피시플레이션(Fishflation)’이라는 신조어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오징어와 고등어 같은 대중적인 수산물 가격이 눈에 띄게 상승하면서 소비자들은 부담을 느끼고 있으며, 자영업자들 또한 원재료 가격 인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피시플레이션 현상의 원인과 영향,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3월 5일 현재. 농수산물유통정보(KAMIS)에   들어가서 확인해보니, 최근 오징어와 고등어 등 대중성 어종 가격이 평년과 전년에 비해 높은 수준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2025년 3월 5일자 연근해산 냉장 물오징어 가격은 한 마리에 9,334원 (1년 전 가격은 9,091원)

 

2025년 3월 5일자 국산 냉장 고등어 한 마리의 소매가격은  4,787원 (1년 전 가격은 4,231원) 

 

 

농산물유통정보 - KAMIS  바로가기

 
 
 

농산물유통정보 - KAMIS

[보도자료] 올해 4인 가족 설 차례상 차림비용 20..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홍문표)가 설을 보름 앞두고 조사한 올해 설 차례상 차림 비용은 평균 20만 3349원으로 전년 대비 소폭(3.9%) 상

kamis.or.kr

 

피시플레이션

 

 

 

1. 피시플레이션(Fishflation)이란?

 

피시플레이션(Fishflation)은 ‘Fish(생선)’와 ‘Inflation(인플레이션)’의 합성어로, 해산물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단순한 일시적 가격 변동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수산물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경제적 현상을 가리킵니다. 과거에도 어획량 감소에 따른 수산물 가격 상승이 있었지만, 최근에는 기후 변화, 해양 환경 악화, 국제 수산물 수요 증가 등의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해산물 가격이 계속 오르고 있습니다.


 

2. 오징어·고등어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

 

(1) 기후 변화와 해양 환경 변화

오징어와 고등어는 대표적인 대중 수산물이지만,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해 어획량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습니다.

  • 해수 온도 상승으로 인해 오징어와 고등어의 주요 서식지 변화가 발생했습니다.
  • 연안에서 쉽게 잡히던 어종들이 더 깊은 바다나 새로운 해역으로 이동하면서 어획 비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2) 남획과 자원 감소

수산물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남획(overfishing)으로 인해 오징어와 고등어의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습니다.

  • 특히, 중국을 비롯한 주요 어업국들의 대규모 조업이 자원 고갈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 지속 불가능한 어업 방식이 계속되면서 어획량이 줄고, 이로 인해 가격이 상승하는 악순환이 반복됩니다.

(3) 유가 상승과 물류비 증가

수산물은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냉동 및 신속한 운송이 필수적입니다.

  • 최근 유가 상승으로 인해 어선의 연료비 수산물 유통 비용이 증가했습니다.
  • 물류비 상승이 제품 가격에 반영되면서,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수산물 가격이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4) 국제 시장 수요 증가

오징어와 고등어는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 중국, 유럽 등에서도 인기가 높은 어종입니다.

  • 글로벌 시장에서의 수요 증가로 인해 국내 시장에 공급될 수 있는 물량이 줄어들고 있으며,
  • 한국 내 가격이 자연스럽게 오르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3. 피시플레이션이 소비자와 산업에 미치는 영향

 

(1) 소비자 부담 증가

 

수산물 가격이 상승하면서 소비자들은 식탁에서 오징어나 고등어를 점점 덜 찾게 됩니다.

  • 고등어 한 마리 가격이 2~3년 전에 비해 2배 이상 상승하기도 했으며,
  • 횟집, 해산물 요리를 제공하는 음식점들의 메뉴 가격도 덩달아 오르고 있습니다.

(2) 외식업계와 수산업의 어려움

해산물을 주재료로 사용하는 외식업체들은 원가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 수산물 가격이 오르면 음식점 운영비도 상승하기 때문에, 일부 업소들은 가격을 올리거나 메뉴 구성을 변경하는 등의 대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 한편, 어업 종사자들 역시 연료비 부담과 어획량 감소로 인해 경영이 악화되는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피시플레이션

 

4. 앞으로의 전망과 해결 방안

 

피시플레이션 현상은 단기간 내에 해결되기 어려운 문제지만, 몇 가지 해결책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지속 가능한 어업 관리 필요

  • 정부 및 국제 사회가 어획량을 조절하고, 남획을 방지하는 정책을 강화해야 합니다.
  • 친환경 어업 방식과 양식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수산물 공급을 안정화해야 합니다.

 수입 다변화 및 대체 어종 개발

  • 특정 어종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다양한 어종을 소비하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 정부 차원에서 수산물 수입 경로를 다변화하여 가격 안정화를 유도할 필요가 있습니다.

 기후 변화 대응 및 해양 보호

  • 기후 변화로 인해 수산자원이 감소하는 만큼, 해양 보호 및 해수 온도 변화 대응 정책이 필요합니다.
  • 탄소 배출 감소를 위한 친환경 정책을 강화하여 장기적인 해결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5. 결론

 

오징어와 고등어 가격 상승은 단순한 시장 변동이 아닙니다.

기후 변화, 남획, 물류비 상승, 글로벌 수요 증가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피시플레이션 현상은 앞으로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지속 가능한 어업 관리, 수입 다변화, 친환경 정책 등의 해결책을 통해 장기적인 대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소비자들도 변화하는 수산물 시장을 주시하며, 다양한 대체 식품을 고려하는 등 새로운 소비 패턴을 형성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